-
고성능실리콘 우레탄 실란트 씨카 플렉스 컨스트럭션AP(Construction AP) 시공자재/실란트 2020. 3. 13. 16:58
씨카 컨스트럭션은 고성능 씰링제로서 국내에서도 인지도가 높은 제품입니다.
인지도가 높은 이유는 탄성과 접착력이 여타 제품보다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씰링의 목적에 대해서 먼저 간단하게라도 살필 필요가 있겠습니다.
씰링(sealing)이라 함은 두 가지, 혹은 그 이상의 물체를 서로 맞대어 놓을 때 생기는 접합부(=이음매) 사이를
채우거나 덮어서 그 사이로 액체가 흘러들지 않도록 봉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실란트(sealant)는 여기에 사용되는 자재를 가리키는 것이고요.
그래서 근본적으로 씰링은 건물이나 차량, 항공기 등 각종 시설/장비의 내부로 외부의 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입니다.
그 자체가 높은 강도를 지니고 있어 시설/장비의 내구성을 더 높이기 위해 보강하는 것이 아닙니다.
물론, 내부로 물이나 여타 물질이 흘러들어갈 경우 내부 구조에 손상을 일으키므로
이러한 것들을 차단한다는 점에서 내구성을 보강하는 것이기도 합니다만,
주목적이 구조보강은 아니라는 뜻입니다.
이런 목적을 생각해 보면, 실란트에서 중요하게 요구되는 성능이 무엇인지 쉽게 추측할 수 있습니다.
이음매에 시공을 했을 때 첫째로 잘 붙어 있어야 합니다.
어느 한 쪽이라도 부착면으로부터 탈락하게 되면 실링재로서의 기능은 상실하게 됩니다.
둘째로 탄성이 좋아야 합니다.
이음매라는 것 자체가 움직임이 많을 수밖에 없는 부위입니다.
자동차 등은 진동이 많이 발생하니 말할 것도 없고,
건축물의 경우 웬 움직임 하실 수 있지만, 건물도 움직입니다..
지진이 발생해야만 움직이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나라 같이 사계절이 뚜렷한 곳에서는
겨울과 여름에 기온 변화에 따라 콘크리트도 수축하고 팽창을 반복합니다.
실제 길이변화율이 크지 않지만, 애초에 총면적이 큰 것이 건물이니
그 움직임이 작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실링재는 이 움직임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고,
또 이음매가 벌어질 때에도 함께 늘어나 계속해서 실링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이 필요합니다.
서론이 길었습니다.
씨카플렉스 컨스트럭션은 건축용 실란트입니다.
씨카 실란트는 차량쪽에서도 유명한 것으로 아는데, 본 제품은 건축용으로 나온 제품입니다.
말씀드린 것처럼 컨스트럭션은 탄성과 접착력이 좋기 때문에,
특히 방수공사 시에 많이 사용이 됩니다.
이 업계에 계신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방수공사를 할 때에는 조인트 및 균열부, 파인 부분 등이 주요한 하자의 원인이 됩니다.
신축 현장이 아니고서야 옥상에는 크랙은 물론 에어컨 실외기 등 각종 설치물이 많습니다.
그런데 이 부위들이 진동이나 거동이 많기 때문에 그 이음매들을 씰링을 잘 해주지 않으면
방수층이 깨지고 들떠서 문제가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주요한 통로가 됩니다.
정작 도막층(우레탄 등)은 공들여서 잘 시공해놓았는데,
이음매 부위 시공이 부실할 경우 그 사이로 물이 들어가 전체 방수층을 들뜨게 만드는 불상사가 일어나는 것입니다.
이음매 등 각종 조인트 부위는 씰링이 중요하다. 동공부, 패인 부위 씰링과 더불어 탈기반 설치시에도 컨스트럭션을 사용한다. 그런 만큼 실란트는 잘 선별해서 쓰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우레탄방수재야 이제는 가격도 성능도 모두 비슷하게 형성이 되어 있으므로 큰 차이가 없으나,
실란트에는 비용 조금 더 들이더라도 안정성이 있는 제품을 쓰는 것이
장기적으로 봤을 때에는 훨씬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됩니다.
옥상 방수시 아래와 같이 시공을 하시면 됩니다.
면처리 -> 하도(프라이머) 및 씰링 -> 중도 1, 2차 -> 상도
컨스트럭션은 일반 실리콘과 같이 카트리지타입으로 포장되어 있기 때문에
코킹건(실리콘건)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위와 같이 면처리된 면에 하도 작업을 합니다.
이후 벽체와 바닥면에 꼼꼼하게 씰링을 해줍니다.
위 사진처럼 조인트 부위에는 반드시 씰링 작업을 꼼꼼하게 해주어야 합니다.
계단 하부는 특히 누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부위이기도 합니다.
중도 시공 전 씰링이 충분히 양생되어야 하기 때문에,
보통 하도와 씰링 작업을 같은 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와 같이 외부에 노출된 채로 마감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이 마스킹 후 작업을 해주면 됩니다.
다만, 퍼티로 면잡는 과정이 있기 때문에 일반 마스킹 테이프가 버티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럴 경우 청테이프처럼 견고한 테이프를 이용하면 됩니다.
자재 구매 및 상세 문의는 아래 연락처로 편히 주시기 바랍니다.
032-515-6636
'자재 > 실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경화,고성능 우레탄실리콘 씨카플렉스 11FC(SikaFlex 11FC) (0) 2020.06.18 변성 실리콘 실란트 씨카씰MS(실리콘 실란트 용어 정리) (2) 2020.05.12 케미칼앙카 st-300, 360 (특성 및 시공법) (0) 2020.04.10 [다용도 방수테이프] SikaMultiseal (0) 2020.03.30 [이액형 폴리우레탄 씰링제] PU213 (0) 2020.03.02